기구필라테스는 몸의 위치와 동작을 고정시켜주는 장점이 있지만, 동시에 몇 가지 단점도 가지고 있습니다. 기구필라테스의 단점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운동 강도 제한
기구필라테스는 기구와 매트를 사용하여 몸의 위치와 동작을 고정시키기 때문에 운동 강도를 높일 수 있는 범위가 제한됩니다. 특히 대근육군을 자극할 수 있는 고강도 운동은 기구필라테스에서는 다소 제한적입니다.
기구필라테스는 주로 저강도 운동과 스트레칭 위주의 동작이 많아, 근력 강화에는 한계가 있을 수 있습니다.
유산소 운동 효과 부족
기구필라테스는 몸의 위치 변화와 스트레칭 중심의 저강도 운동이 주를 이루기 때문에, WHO에서 권장하는 중강도 이상의 유산소 운동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습니다. 유산소 운동은 심폐 기능을 향상시키고, 전반적인 체력 향상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기구필라테스는 이러한 효과를 제공하는 데 한계가 있습니다.
개인차에 맞는 동작 조절 어려움
기구필라테스는 기구를 사용하여 동작을 수행하기 때문에, 개인차에 맞는 동작 조절이 어렵습니다. 예를 들어, 팔굽혀펴기와 같은 대근육군을 자극하는 운동은 기구를 사용한 필라테스에서는 수행하기 어렵습니다.
이는 운동의 효과를 개인의 체력과 목표에 맞게 최적화하는 데 제한을 줄 수 있습니다.
제한된 운동 범위
기구필라테스는 기구를 사용하므로 운동 자세가 고정적일 수 있습니다. 이는 몸의 여러 관절과 근육군을 다양한 범위로 움직이는 것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다양한 동작을 수행하여 전신의 근육을 골고루 발달시키는 것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시간과 장소의 제약
기구필라테스는 수업 시간이 정해져 있기 때문에 개인의 체력과 속도에 맞추어 운동할 여지가 적습니다. 또한, 수업 장소와 시간에 제약을 받기 때문에 개인의 생활패턴과 스케줄에 맞추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이는 기구필라테스를 꾸준히 실천하는 데 어려움을 줄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기구필라테스는 몸 전체 근육 발달과 개인 맞춤형 운동을 위해서는 제한적인 측면이 있습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고자 한다면 유산소 운동과 대근육을 자극하는 고강도 운동을 추가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예를 들어, 기구필라테스 수업 중간에 팔굽혀펴기와 같은 운동을 추가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기구필라테스의 장점을 유지하면서도 전신의 근력과 체력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